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전경.ⓒ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 창립 17주년을 맞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장애인기업 지원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기업진흥원’ 설립을 적극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장애인의 창업과 기업활동을 다각도로 지원하여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센터는 장애인기업의 창업 및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 16개 지역센터, 7개 가치만드소(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가 장애인 창업보육(BI)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장애인기업 확인서 발급 및 공공구매 제도 운영을 통한 공공기관의 장애인기업 제품 구매액은 2.7조 원에 달한다.
2024년 장애인 창업교육은 수료생 2032명, 창업자 184명을 배출했다. 1:1 바이어 상담, 항공·통역 등을 지원하는 수출 지원 사업은 2024년 696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장애인기업 16만 시대, 장애인기업의 성장세와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커짐에 따라 체계적인 지원에 대한 정책 수요도 크게 늘어났다. 한편으로는 경기 침체의 장기화와 기술·트렌드 등 환경 변화의 가속화로 선제적 위기 대응을 위한 거시적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인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중장기 전략 추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본계획 작성 주기를 1년에서 5년으로 변경하는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개정이 이뤄졌고, 2024년에 장애인기업활동촉진 5개년 기본계획이 수립됐다.
제1차 기본계획은 ‘장애인 경제와 복지를 포괄하는 진정한 생산적 복지 구현’이라는 비전에 따라, 장애인기업 20만개, 매출액 100조원 달성(’22년 기준 16만개, 75조원)을 목표로 장애인 창업 활성화와 장애인기업 지속 성장을 위한 4대 전략과 28개 중점 추진과제가 담겨 있다
특히 센터는 장애인기업 지원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기업진흥원’ 설립을 적극 추진한다.
현재 센터의 기능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개정안(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 발의)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로, 법안이 통과될 경우 센터는 ‘한국장애인기업진흥원’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보다 체계적인 장애인기업 육성 사업 운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센터는 혁신적인 기술이나 성장잠재력 있는 사업 아이템을 보유한 유망 기업을 발굴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투자 유치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박마루 이사장은 “장애인기업이 단순한 생계형 사업을 넘어 혁신과 성장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정부, 민간, 공공이 함께 협력하는 지원 체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장애인기업은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중기업의 경우 장애인 고용비율 30% 이상이여야 함)이다. 2022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장애인기업 수는 16만4660개, 매출액은 75조1368억원에 달한다. 장애인기업 종사자 54만4840명 중 장애인은 32.2%인 17만5581명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